미국 국채와 기준금리 인상
미국 중앙은행 기준금리 (출처 : 네이버)
미국이 7월 한차례 더 기준 금리를 인상하며 현재 5.50%까지 기준 금리가 치솟았습니다. 2022년 3월 이후 1년여만에 무려 5%가 넘는 수치가 올랐으며 이제 한국의 기준금리와 2% 차이가 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 매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국채 종류
미국 국채 20년물 (출처 : NAVER)
우선 국채란 각 나라에서 발행하는 채권으로 특히 미국 국채는 신용등급 AAA 인 안전 자산 중 하나입니다. 미국 국채는 2년,3년,5년,10년,20년,30년물이 있으며 이는 각각의 채권 만기기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2년물인 미국 국채가 2023년 8월1일에 발행되었다면 만기인 2025년7월31일에 채권의 금액과 이자를 같이 지급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국채는 기준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특히 상환기간이 짧을 수록 기준금리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그로 인해 미국 국채 2년물의 수익율은 4.9%에 달하고 있습니다. 위 이미지에서 20년물이 현재 4.3%인 것에 비해 2년물 수익율이 더 높은 상황입니다.
(보통 국채의 상환기간이 짧을수록 이자율은 낮습니다.)
미국 국채 투자방법(TLT ,TMF , ISHARES 도쿄)
우선 미국 국채 ETF인 TLT와 TMF, 그리고 도쿄에 상장되어 있는 ISHARES 20년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이미지를 보시면 국채수익율 그래프와는 대조적으로 곤두박질 중인 모습입니다. 국채는 주식과는 다르게 낮은 가격에 매입할수록 받는 수익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수익율 그래프가 최고점일수록 매입가격인 차트는 하향하게 됩니다.
TLT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첫번째로 TLT는 미국 국채 20년물을 추종하는 ETF로 현재 주당 98.14$ 입니다. 미국 국채 20년물과 동일하게 움직이는 지수로 편입비중은 만기일이 2046년에서 2052년 사이의 미국 국채들로 100% 채워져 있습니다.
TMF (Direxion Daily 20+ Yr Trsy Bull 3X ETF)
두번째, TMF는 TLT를 추종하며 등락률이 TLT의 3배인 ETF 상품입니다. TLT가 미국 국채 20년물을 추종함으로 TMF 역시 20년물의 등락에 따라 움직인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TMF는 고위험상품에 속해 있습니다. 3배로 움직이는 상품인만큼 채권이 매력적인 상황이 오게되어 채권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3배로 오르겠지만 그 반대인 상황이 된다면 3배로 하락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일본 (ISHARES 20+ YEAR US TREASURY BOND JPY HEDGED ETF)
세번째, 일본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국채 20년물 ETF 입니다.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TLT와 동일하며 이 상품은 일본 엔화의 약세인 지금 상황에 아주 좋은 상품이라 생각됩니다.
현재 달러 환율은 조금 높다고 생각되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국채 투자는 환율도 고려해야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동일하게 미국 국채 20년물을 추종하면서 환율 이득까지 생각할때엔 엔화로 투자할 수 있는 이 상품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국채의 매력
지금까지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미국 국채는 여러 기업들이 안전자산으로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금리 인상의 끝이 언제일지는 알 수 없지만 금리가 꽤 높아진 지금 매력적인 상품임에는 틀림없을 것 입니다.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트 디즈니의 재무제표와 매출(미국주식#3-2) (0) | 2023.09.01 |
---|---|
월트 디즈니의 주가와 디즈니 플러스(미국주식#3-1) (0) | 2023.08.31 |
미국 금리인상과 주식시장(#1) (0) | 2023.08.29 |
미국주식 애플 재무제표 파헤치기(#1 최근분기) (0) | 2023.08.28 |
AI시대 엔비디아 주가 상승과 매출 비중(#2) (0) | 202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