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 / 2023. 8. 29. 05:26

미국 금리인상과 주식시장(#1)

반응형

미국 금리인상과 주식시장(#1)

 

 

 

 

서론

미국 금리 또 인상, 22년 만에 최고 수준 (imbc.com)

미국의 경제상황은 글로벌 경제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로인해 미국 금리의 여부 또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 미국이 이번 7월 기준 금리를 5.50%까지 인상하였습니다.

 

 

 

금리 인상의 이유는?

미국의 기준금리와 소비자물가지수 (출처 : NAVER)

금리 인상의 이유는 한가지 요소만으로 진행되지는 않습니다. 인플레이션과 다양한 지표들(미국의 고용지표 및 소비자 물가지수) 을 통해 연방준비은행이 인상과 인하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번 인상은 완만해진 소비자물가지수 지표를 받긴 했지만 아직 견고한 미국 일자리 증가세와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진정되지는 않았다는 것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의 관계

물가가 급격하게 올라가게 되면 정부는 무리한 인플레이션에 대비하여 금리인상을 하게 됩니다. 특히 미국의 급격한 인플레이션은 역사가 알려주듯 결국 경제대공황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큰 충격으로 전세계에 다가왔습니다.

이렇게 금리인상을 단행하게 되면 코로나 이후 폭발적인 소비가 이루어진 부분이 어느정도 잦아들게 되고 사람들은 높아진 금리에 저축과 대출이자로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그렇게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 조절이 되면 연준은 금리인하를 진행할 것이며 (소비가 너무 줄어들고 대출이자가 너무 올라가게 되면 반대로 기업이 성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균형을 맞추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반응형

 

 

 

금리인상과 주식시장의 관계

앞서 얘기했듯 금리인상은 사람들의 소비를 줄이며 이는 투자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사람들은 높아진 금리로 인해 굳이 위험성이 있는 주식투자 보다는 안전자산인 은행에 맡기는 쪽을 선택하게 되며 이는 곧 활발했던 주식시장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보통 이런 시기에는 튼튼한 회사들도 주식시장 전체의 상황에 의해 주가하락이 이루어지며 이는 그 회사의 가치가 떨어진 부분이 아닌 주식시장의 상황때문이기에 영리한 투자자들은 이 기회에 자신이 눈여겨 보았던 회사에 투자를 하기도 합니다.

 

 

 

마무리

시장 투자자들 대부분은 현재 7월 금리인상 이후 동결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이 어느정도 완만해 지고 있으며 안정화 되고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금리인상과 국채의 관계에 대해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인상과 소비자물가지수의 관계(#미국 연준 의사록1) - 선은재의 소식 (suneunjae.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